글밭단상
②누가 길 위에서 우는데

  • 글밭단상
  • 2021년 봄호 (통권 79호)
②누가 길 위에서 우는데


몇 주 전에 큰맘을 먹고 몇 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글을 올리던 SNS를 탈퇴해버렸다. 스물네 시간 동안 끊임없이 이어지는 타임라인의 흐름에서 빠져나오니 갑자기 일상에 구멍이 숭숭 뚫린 기분이다. 요 며칠, 나는 일상에서 빈틈을 느낀다든가 지루함에 몸서리를 칠 때마다 눈을 질끈 감아버린다. 그리고 열심히 특정한 인상이나 생각에 집중하려고 한다. 스마트폰이 보여주고 들려주는 화려한 영상이 명상이 주는 이득을 모조리 빼앗아 가 버렸다는 반성이 들어서이다. 그러나 아무리 다양한 주제나 이미지를 떠올리려 해도 내 생각이 머무는 곳은 하나, 똑같은 장면뿐이다.
그것은 길 위에서 붕어빵을 구워 파는 아주머니의 낯익은 얼굴, 흐르는 눈물을 닦다 붉게 달아오른 눈자위다. 안경을 벗고 눈을 비비느라 눈앞에 내민 돈이 삼천 원인지 이천 원인지도 구분이 안 가 주문한 것보다 많은 붕어빵을 흰 종이 봉지에 담아주며 허겁지겁하던 모습.
코로나 시국 탓에 자영업자들의 생활이 어려워진 탓일까. 내가 산책을 다니는 길목에도 전에는 보지 못했던 간식거리를 파는 노점들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그 가운데 유독 좋은 자리를 잡은 탓인지, 손님을 대하는 솜씨가 남다른 탓인지 지나갈 때마다 길이 막힐 정도로 북적이는 노점이 있다. 당연히 겨울 군것질거리를 좋아하는 나도 수시로 들락거리곤 하는데 그 많은 손님 가운데 용케 얼굴을 알아보고 덕담이든 붕어빵 한 마리든 얹어주는 마음 씀씀이가 신경이 쓰였다.
“이렇게 덤을 많이 드렸는데 봉지가 찢어지면 어떡하죠.”하고 짐짓 생색을 내면,
“괜찮아요, 집에 가면서 배에 넣으면(먹으면) 돼요.”하고 받아넘기면서 마스크 너머로 쿡쿡댄다. 딱 그만큼의 온기다. 제대로 차려 먹는 밥상이 부담스러울 때에 허기를 달래는 찐 옥수수, 붕어빵, 호떡만큼의 뿌듯함.
그 노점은 아직 젊은 아주머니가 (아주머니보다는 조금 늙수그레하게 보이는) 아저씨와 함께 꾸려나가는 모양새다.
재료비를 아끼려는 듯 붕어빵엔 팥이 들어간 둥 만둥하고 호떡은 찹쌀 함량이 의심스러울 정도로 뻣뻣하지만 옥동같이 추운 날에도 부지런히 손을 놀려 굽고 찌는 두 사람의 노동이 지나가는 사람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나로 말할 것 같으면 눈보라를 머금은 차가운 바람이 몰아치는 길 한가운데 서서 훈김을 피우는 것만으로도 고마워 옥수수며 찐 고구마며 이것저것 사들이는 단골손님 축에 낀다고나 할까. 까탈스럽게 미식의 여유를 부릴 마음은 멀리 밀쳐낸 지 오래다.
일주일 전쯤 되었나. 습관처럼 그 앞을 지나가는데 아주머니의 얼굴이 마스크에 반쯤 가려져 있는데도 눈에 띄게 상기되어 있었다. 그 와중에도 손님들은 붕어빵이 나오길 기다리며 계속 지폐를 내미는데 아주머니가 그걸 잘 집어 담지 못하고 헛손질을 하는 거다. 나도 습관처럼 지나치지 못하고 슬그머니 끼어들어 주문을 넣었는데 아주머니는 연신 눈가를 훔치면서 불판을 들었다 놨다 한다. 속으로는 뭔가 이상하다는 마음이 들었지만 몰려들었다 나가는 손님들에 휩쓸려 얼른 받아가야 할 빵과 호떡의 개수를 셈하기만 바빴다. 아주머니, 오늘 어디 아프세요? 약이라도 사다 드릴까요? 하고 친절한 말 한마디 건넬 여유가 없었다. 핑계를 대자면 발을 동동 굴려야 겨우 참을 수 있을 정도로 날이 추웠고 바로 뒤에 들어온 손님의 눈치를 봐서 재빨리 자리를 비워줘야 한다는 사정이 있었다.
사방으로 열린 길 한가운데서, 타인의 아픔을 들여다본 사람이라면 갖추어야 할 예의가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의 눈물 앞에 섰을 때 우리는 그 눈물의 무게, 성분, 온기에 반응해야 할 책임이 있다. 하지만 눈앞에 있는 사람이 아픔을 노출하는 상황에서 아무렇지 않은 것처럼 달콤한 팥을 넣은 빵을 먹을 수 있는 게 사람이다. 그래, 그럴 수 있는 내가 조금 미워졌다. 휴지라도 몇 장 건네주고 올 걸 그랬나, 아니야 괜한 오지랖이지, 이런 후회의 목소리가 멍하니 감은 눈과 귀 사이로 웅웅 기어 나온다. 혹시 그때 슬퍼서 운 게 아니라 불판에서 열기가 올라와서 잠깐 다친 것이 아닐까, 함께 장사하던 아저씨가 무슨 말로 상처를 준 게 아닐까 별의별 생각이 그 얼굴을 둘러싸고 여울과 홈을 만든다.
어제도 오늘도, 길목 앞을 지나가면서 열심히 두 손을 놀려 호떡과 붕어빵을 구워내는 아주머니의 얼굴을 본다. 오늘은 울고 있지 않을까 살짝 걱정하면서. 어제도 오늘도 아주머니의 얼굴은 평범했고 빵을 봉지에 담으며 살짝 건네는 농담도 여전했다. 앞으로 이런 걸 확인하고 들어오는 것이 당분간 일상의 일부가 되겠다는 예감이 들었다. 왠지 그래야만 할 것 같았다. 빵과 옥수수를 맛있게 먹으려면.
나의 무심함과 타인의 아픔을 예민하게 품을 수 있는 여유를 얻으려면 앞으로도 좀 더 스마트폰에서 거리를 둬야 할 것 같다. 그 안에는 예쁜 사진을 전시하며 화사한 인사말을 나누는 반가운 익명의 만남들이 있다. 하지만 눈앞에서 눈물을 훔치며 간식을 굽는 이웃은 현실에만 있다. 누군가 길 위에서 우는데 위로의 몸짓 하나 전해주지 못했던 날 느낀 슬픔을 기억하기 위해 나는 모처럼 노트북을 열어 긴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이소연
이소연
평론가, 1971년생
저서 『응시하는 겹눈』, 공역서 『서사학 강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