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밭단상
③이게 내가 하는 일이에요

  • 글밭단상
  • 2021년 봄호 (통권 79호)
③이게 내가 하는 일이에요

다음에 봐요. 인사치레인지 진심인지 알 수 없는 인사에 절실한 마음이 생기기 시작한 지도 오래다. 거리두기가 길어지고, 시간이 흐른 뒤에는 그런 말조차 하기 어렵게 되었다. 대신할 말을 고민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났다. 해가 거듭될수록 업무와 관련된 문자나 메일을 주고받을 때마다 안부를 묻는 것이 쉽지 않다고, 나는 자주 생각했다. 잘 지내시냐는 말은 너무 뻔했는데도, 그 뻔한 말조차 하지 않자니 염치도 예절도 모르는 뻔뻔한 사람이 된 것만 같았다. 어려운 건, 수신인이 될 때도 마찬가지였다. 답신에 적힌 문장의 뉘앙스나 단어를 놓고 과연 이런 의미로 받아들여도 되는지 고심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쓰는 나’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쓰지 않는 나’에게도 몇 가지 규칙이 필요했다. 무슨 글이든 간에 문장부호를 쓸 것. 나는 상대와 격식 없이 연락을 주고받아도 되는 상황에서도 문장부호를 꼬박꼬박 사용했다. 간혹 아무런 마침표가 없는 문장을 보면 높낮이를 다르게 해 읽어보기도 했다. 다음에 만나요, 다음에? 그러니까…… 언제. 한사코 가만히 있지 않고 나에게 대화를 걸어오는 문장들. 외면할 수 없는 목소리와 세계가 있어서 나는 일할 수 있었다. 이야기의 함의나 방향성, 말하는 사람의 의도 그리고 그들이 있는 세계를 응시하고, 파악하고 진단하는 일. 언어를 다루는 이상 자연스러운 일이었음에도, 어쩐지 모든 것들이 ‘일’과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 자주 피로했다.
세상이 빗장을 서서히 걸어 잠그는 것을 보며 나는 조금 더 고요해졌다고 생각했을 뿐이었다. 어김없이 집에 틀어박혀 책을 읽고, 이따금씩 도서관에 들려 책을 빌려오는 나의 일상은 달라진 게 없었으므로. 오랜만에 연락이 닿은 동창과의 어색할 것만 같은 만남을 자연스레 미룰 수 있었고, 문 닫힌 단골카페 앞에서 발길을 돌려 평상시 궁금했던 가게에 들렀다. 쿠키를 베어 물며, 외국에서 진행하는 언어 수업을 온라인으로 수강했다. 송출된 화면이 불안정해 우리는 자주 고요해졌다. 원고에는 그런 날들에 대해, 세상의 나쁨과 사람들의 아픔에 대해 적었다. 프랑스에 있는 친구에게 수업 때 이해가 가지 않았던 내용과 함께 안부 차 짤막한 메시지를 보냈다. 예정대로라면 노르망디에서 친구와 시간을 보내고 있어야 했지만, 언젠가부터 우리는 ‘다음’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다음’과 함께 사라진 것은 ‘우리’였다.
세상이 고요해질수록 나는 더 많은 말을 할 수 있었다. 이 기분을 무어라 표현할 수 있을까. 지난여름, 모 서점에서 반년 간 독서워크숍 진행을 맡게 되어 근 몇 년 간 발표된 소설들을 강독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무렇지 않게 먹고 자며 지내다가도 ‘문학’ 앞에서, ‘우리’와 ‘세계’에 대해 말하며 한없이 엄숙해지는 나의 태도가 낯설고 부끄러웠다.
마지막 강독 수업에서는 저 자신도 알 수 없는 말을 했던 것 같다. 수업이 끝날 무렵, 수강생 분께서 손을 들며 말했다. 그런데요, 이 소설을 그렇게까지 읽는 건 좀 과한 거 아닌가요. 그 말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잠시 고민하는 중에 떠오른 기억은 학부 시절 교양 수업이었다. 뉴스나 영화를 분석하는 수업이었는데, 하루는 누군가 교수님께 그런 질문을 했다. 그런 해석은 좀 지나치지 않느냐고. 마카를 들고 칠판에 무언가를 적어 내려가던 교수님이 손짓을 멈추고 몸을 돌려 말했다. 맞아요, 그런데 이게 내가 하는 일이에요.
서점 앞에는 J의 차가 서 있었다. 상황이 어려워 부모님네 집으로 이사를 가게 되어서, 지금처럼 보기 힘들 것 같아 찾아왔다고 했다. 시기가 시기인지라 카페에 가지 않고 차에서 이야기를 나누다 헤어지는 것이 좋을 것 같았다. 집 앞에 차를 세워두고, 띄엄띄엄 이어지던 우리의 대화는 얼마 못가 사그라들었다. 얼마나 시간이 지났을까. 차창에 하얀 김이 서려 있었다. 나의 시선을 의식했는지 J가 말했다. 우리가, 여기 있어서 그래.
그날 이후로 겨우내 뿌연 창가를 볼 때마다 나는 그것들이 입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언어가 되지 못한 숨들. 혹은 망설이는 사이 입술 밖으로 빠져나간 말들. 그것들은 날이 풀리면 희미해지겠지만,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나는 그것들을 본다. 그다음에, 그것들에 대해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이게 내가 하는 일이에요.
박하빈
박하빈
평론가, 제18회 대산대학문학상 평론부문 수상자, 1994년생
평론 「이제는 남겨진 당신의 얼굴을 마주할 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