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대산문화》소개
구독안내
지난호 보기
2025년 봄호
2024년 겨울호
2024년 가을호
2024년 여름호
2024년 봄호
2023년 겨울호
2023년 가을호
2023년 여름호
2023년 봄호
2022년 겨울호
2022년 가을호
2022년 여름호
2022년 봄호
2021년 겨울호
2021년 가을호
2021년 여름호
2021년 봄호
2020년 겨울호
2020년 가을호
2020호 여름호
2020년 봄호
2019년 겨울호
2019년 가을호
2019년 여름호
2019년 봄호
2018년 겨울호
2018년 가을호
2018년 여름호
2018년 봄호
2017년 겨울호
2017년 가을호
2017년 여름호
2017년 봄호
2016년 겨울호
2016년 가을호
2016년 여름호
2016년 봄호
2015년 겨울호
2015년 가을호
2015년 여름호
2015년 봄호
2014년 겨울호
2014년 가을호
2014년 여름호
2014년 봄호
2013년 겨울호
2013년 가을호
2013년 여름호
2013년 봄호
2012년 겨울호
2012년 가을호
2012년 여름호
2012년 봄호
2011년 겨울호
2011년 가을호
2011년 여름호
2011년 봄호
2010년 겨울호
2010년 가을호
2010년 여름호
2010년 봄호
2009년 겨울호
2009년 가을호
2009년 여름호
2009년 봄호
2008년 겨울호
2008년 가을호
2008년 여름호
2008년 봄호
2007년 겨울호
2007년 가을호
2007년 여름호
2007년 봄호
2006년 겨울호
2006년 가을호
2006년 여름호
2006년 봄호
2005년 겨울호
2005년 가을호
2005년 여름호
2005년 봄호
2004년 겨울호
2004년 가을호
2004년 여름호
2004년 봄호
2003년 겨울호
2003년 가을호
2003년 여름호
2002년 하반기호
2002년 상반기호
2001년 하반기호
2001년 상반기호
2000년 하반기호
2000년 상반기호
창간호
지난호 보기
2025년 봄호
2024년 겨울호
2024년 가을호
2024년 여름호
2024년 봄호
2023년 겨울호
2023년 가을호
2023년 여름호
2023년 봄호
2022년 겨울호
2022년 가을호
2022년 여름호
2022년 봄호
2021년 겨울호
2021년 가을호
2021년 여름호
2021년 봄호
2020년 겨울호
2020년 가을호
2020호 여름호
2020년 봄호
2019년 겨울호
2019년 가을호
2019년 여름호
2019년 봄호
2018년 겨울호
2018년 가을호
2018년 여름호
2018년 봄호
2017년 겨울호
2017년 가을호
2017년 여름호
2017년 봄호
2016년 겨울호
2016년 가을호
2016년 여름호
2016년 봄호
2015년 겨울호
2015년 가을호
2015년 여름호
2015년 봄호
2014년 겨울호
2014년 가을호
2014년 여름호
2014년 봄호
2013년 겨울호
2013년 가을호
2013년 여름호
2013년 봄호
2012년 겨울호
2012년 가을호
2012년 여름호
2012년 봄호
2011년 겨울호
2011년 가을호
2011년 여름호
2011년 봄호
2010년 겨울호
2010년 가을호
2010년 여름호
2010년 봄호
2009년 겨울호
2009년 가을호
2009년 여름호
2009년 봄호
2008년 겨울호
2008년 가을호
2008년 여름호
2008년 봄호
2007년 겨울호
2007년 가을호
2007년 여름호
2007년 봄호
2006년 겨울호
2006년 가을호
2006년 여름호
2006년 봄호
2005년 겨울호
2005년 가을호
2005년 여름호
2005년 봄호
2004년 겨울호
2004년 가을호
2004년 여름호
2004년 봄호
2003년 겨울호
2003년 가을호
2003년 여름호
2002년 하반기호
2002년 상반기호
2001년 하반기호
2001년 상반기호
2000년 하반기호
2000년 상반기호
창간호
계간《대산문화》소개
구독안내
문학과 미술의 만남
원한
노트 위 패스포트
예술과 자연의 완벽한 화음, 오스트리아
대산초대석
“문학은 모든 예술의 수학입니다”
인문에세이 - 길을 묻다
사람의 길, 사랑의 길
대산칼럼
콩나물 사러 갔다가
기획특집
기획의 말
사적 소설, 공적 여성
‘스위트홈’의 경계에 선 신여성들의 목소리
비탄의 ‘나’를 일으켜 세운 사람
아직 책상에 앉은 여자
가상인터뷰
모두가 좀 더 가난하고 겸손했으면 좋겠어
특별인터뷰
은밀하지만 노골적인 시각적 인종주의, 그리고 외로움
근대의 풍경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한 수원 기생 김향화
내 인생의 OO
「빈 문서」의 눈 코 입
나의 어머니
기억 한 조각
광화문글판
가을 들
나의 사진첩
1982년 4번 국도변에서
내 문학의 공간
사랑으로 존재를 일으키는 곳
인생식당
마지막 연애의 추억, 은성보쌈
시
일요일 손들 유령들, 나의 덜컹거리는 엄마
살아있는 느낌이라는 오해, 마음 이사
단편소설
피아니스트
딱따구리가 우는 숲
글밭단상
연애편지와 나의 습작기
건네지 못한 장미
팽나무와의 연애
다가오거나 멀어지려는 시기
동화
퍼스트 스킨
이 계절의 문학
한국 찾은 베르베르, 선명해진 테마 소설집… 위기의 문학시장의 빛나는 순간들
오늘의 화제작
재난과 재난 사이, 죽음과 애도 사이를 살아간다는 것
원작 대 영화
약속된 가치와 가짜 행복
우리 문학의 순간들
이어령의 『축소지향의 일본인』, 일본 열도를 흔들다
문학현장
제31회 대산문학상 시·소설 부문 본심 대상작 선정
스스로에게 지지 않을 용기
나의 데뷔작
살아남은 등단작이 죽은 이야기
창작후기
타투를 대신할 무언가를 찾습니다
번역후기
낯섦과 친숙함 사이에서
번역서리뷰
중요한 것은 원작의 작품성이고 번역의 질이다
명작순례
불순(不純)한 삶에서 불온(不穩)한 문학으로
새로 나온 책
대산창작기금,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
재단 소식
2023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 지원대상작 선정 등
2023년 가을호 (통권 89호)
가
+
가
-
2023년 가을호 (통권 89호)
목차
가
+
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