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순례
초학자와 어린이를 위한 당송시(唐宋詩) 입문서

사방득 편, 왕상 주 『천가시』

  • 명작순례
  • 2021년 봄호 (통권 79호)
초학자와 어린이를 위한 당송시(唐宋詩) 입문서

사방득 편, 왕상 주 『천가시』

 


『천가시(千家詩)』는 송대(宋代) 사방득(謝枋得)이 편찬한 『증보중정천가시주해(增補重訂千家詩註解)』와 명대(明代) 왕상(王相)이 편찬한 『신전오언천가시전주(新鐫五言千家詩箋註)』를 합간한 것으로, 당송대의 명시(名詩)들을 선록한 것이다.
사방득 이전에 ‘천가시’라는 서명은 송대 유극장(劉克莊)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진 『분문찬류당송시현천가시선(分門纂類唐宋時賢千家詩選)』에서 보이는데, 이 책은 시의 분류가 번다하고 권질이 많았다. 따라서 사방득은 이중 칠언절구(七言絶句)와 칠언율시(七言律詩)만을 정선하여 『증보중정천가시(增補重訂千家詩)』 2권을 따로 편찬하였다. 그러나 사방득의 편찬본에는 원문만 있고 주석이 없었으며, 수록된 작품 또한 주로 송대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에 명말에 들어와 왕상이 여기에 주해를 가하여 『증보중정천가시주해』를 편찬하고, 사방득의 편찬체제에 따라 자신이 따로 오언절구(五言絶句)와 오언율시(五言律詩)를 정선하여 『신전오언천가시전주』 2권을 편찬하였다. 이처럼 본래는 두 개의 별본이었던 것이 청대로 들어와 그 체제상의 유사성과 서적상들의 필요에 의해 하나로 합간되어 『천가시주석(千家詩註釋)』, 『천가시선주(千家詩選注)』 등의 이름으로 간행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다.
『천가시』에 수록된 시인들은 두보(杜甫), 이백(李白),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 위응물(韋應物), 유우석(劉禹錫)을 비롯하여 소식(蘇軾), 황정견(黃庭堅), 왕안석(王安石), 육유(陸游) 등 당송대의 대표적인 시인들뿐 아니라 제왕장상(帝王將相), 사인학사(舍人學士), 승속남녀(僧俗男女), 무명씨(無名氏), 목동(牧童) 등 사회 각 계층을 포괄하고 있다. 수록된 작품 또한 당송 시 중 예술성이 빼어나고 널리 알려진 작품들을 위주로 하고 있어, 중국 시문학의 대표성과 예술성을 두루 겸비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선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책은 초학자나 어린아이를 주된 대상으로 삼았던 까닭에 수록된 시들은 대체로 평이한 내용을 바탕으로 언어의 계발과 성정의 도야, 지적 소양의 함양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시들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수록 작품을 절구와 율시로만 한정하여 장편의 고체시나 배율 등에 대한 부담을 없앴으며, 내용을 계절 순으로 배열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암송과 낭송에 적합한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선별함으로써 학습의 재미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효용성까지 함께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이 책은 간행된 이후 청대 전시기에 걸쳐 아동들의 시학 입문교재로 널리 유행하였고, 『삼자경(三字經)』, 『백가성(百家姓)』, 『천자문(千字文)』과 함께 아동들의 필수학습서로서 이른바 ‘삼백천천(三百千千)’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에게 예외가 아니어서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동몽학습용 필수독본으로 받아들여지며 한시의 이해와 창작의 토대로서 오랜 기간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청대 형당퇴사에 의해 간행되어 현재까지 당시 선집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가 『천가시』의 평이함과 시체의 소략함에 불만을 품고 그 유행에 반발하여 편찬된 것이었음을 생각하면, 당시 시중에서의 『천가시』의 성행과 영향력이 어떠했는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현전 통합본 『천가시』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수록되어 있는 작자 수는 당인 68인, 송인 56인, 명인 2인, 무명씨 2인 등 총 128인이다. 이 중 송인 1인은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은 목동(牧童)으로 「종약옹에 답하다[答鍾弱翁]」 1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명인 2인은 명(明) 세종(世宗) 주후총(朱厚熜)과 영헌왕(寧献王) 주권(主權)으로 각각 「모백온을 보내며[送毛伯温]」, 「천사를 보내며[送天師]」 1수씩이 수록되어 있다. 명인의 시는 칠언시가 수록된 『증보중정천가시주해』에 실려 있는데 모두가 황가(皇家)의 시로서 2수 모두 칠언율시이며, 사방득의 칠언절구 「경전암의 복숭아꽃[慶全庵桃花]」과 「누에 치는 아낙네의 노래[蠶婦吟]」도 포함되어 있다. 이에 비추어보면 『천가시』로 합간된 『증보중정천가시주해』는 사방득이 편찬한 본래의 모습이 아니며, 『천가시』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혹은 이를 통해 판매수익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후인들에 의해 추가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왕상이 편찬한 『신전오언천가시전주』는 모두 당인의 시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사방득이 편찬한 칠언시 부분이 송인에 치중되어 있는 것을 바로잡기 위한 의도적인 편찬으로 여겨진다.

 

『천가시』에 수록된 작품 수는 오언절구 39수, 오언율시 45수, 칠언절구 94수, 칠언율시 48수 등 총 226수이다. 작품의 배열 순서는 각각의 시 형식 내에서 내용상 봄부터 겨울까지 사계절의 시기에 따라 배열하였으며, 조수초목(鳥獸草木)이 소재로 활용된 시들을 중점적으로 선별하여 계절적 특성이 잘 드러나게 하고 있다. 또한 대장(對仗)과 대비(對比)가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는 시들을 주로 선록하여 한시의 형식미와 예술미, 운율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초학자나 어린아이를 주된 대상으로 삼았던 까닭에 매 쪽 상단에 작품과 관련된 삽화를 넣어 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천가시』는 오랜 기간 많은 사람들에게 애송되면서 전통 시기 사람들의 일상의 삶과 언어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쳐왔으며, 예술미와 운율미를 중심으로 중국 고전시의 미학을 집중적으로 체현하고 있다. 따라서 ‘초학자를 위한 한 당송 시 입문서’로서 그 의미와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 『천가시』는 재단의 외국문학 번역지원을 받아 필자의 번역으로 문학과지성사에서 2020년에 발간되었다.
주기평
주기평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1967년생
저서 『육유시가연구』 『조선후기 유서와 지식의 계보학』(공저), 역서 『육유사』 『육유 시선』 『잠삼 시선』 『고적 시선』 『왕창령 시선』 『향렴집』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등